라이프

조선시대 노비 이름 짓는 법, 알고 계셨나요? 📜

MoneyMove_Chaser 2025. 5. 25. 12:15
반응형

추노 <KBS>

생년월일로 이름이 정해졌다고?

사극을 보다 보면 노비들의 이름이 특이하다고 느껴진 적 있으신가요?
조선시대 노비들은 무작위로 이름을 지은 것이 아니라,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작명되었다고 합니다.

오늘은 그 특별한 노비 명명법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조선시대 노비 이름의 규칙

🔸 1. 월(달)에 따라 정해지는 글자

이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 해당 달에 태어난 노비의 이름 앞 글자는 해당 월의 글자를 사용


🔸 2. 일(날짜)에 따라 정해지는 글자

날짜 이름 날짜 이름
1일 17일
2일 18일
3일 19일
4일 20일
5일 21일
6일 22일
7일 23일
8일 24일
9일 25일
10일 26일
11일 27일
12일 28일
13일 29일
14일 30일
15일 31일
16일 - -
 

📌 태어난 날의 숫자에 따라 이름 뒤 글자가 결정됨


🧾 예시로 알아보는 명명법

예: '만석'이라는 이름의 노비

  • '만' → 4월생 (4월의 이름 글자)
  • '석' → 4일생 (4일의 이름 글자)

🎯 즉, **4월 4일에 태어난 노비의 이름은 ‘만석’**이 되는 셈이죠.


💡 조선시대 노비 이름의 특징

✔ 생년월일 기반 작명

  • 한눈에 생년월일을 추정할 수 있음

✔ 이름이 단순하고 규칙적

  • 신분 구분이 확실해야 했던 계급 사회의 현실이 반영

✔ 노비들 사이에서 중복된 이름이 많음

  • 이름보다도 '누구 소속'인지가 더 중요했기 때문

📚 정리

조선시대의 노비 이름에는 단순한 호칭 이상의 사회적 의미와 통제 시스템이 숨어 있습니다.
현대인의 관점에서 보면 충격적이기도 하지만, 그 시대를 이해하는 하나의 창으로 바라볼 수 있습니다.

🎥 다음에 사극 보실 때, 노비 이름을 주의 깊게 들어보세요.
이름만으로도 그 사람의 생일과 신분, 그리고 시대의 그림자가 느껴질 거예요.


 🗨️ 여러분은 어떻게 느끼셨나요?

 

조선시대 이름 짓기, 흥미롭거나 충격적이지 않나요?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을 들려주세요!
공감♥ + 구독도 함께 해주시면 더 많은 소식 정보를 전달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