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년월일로 이름이 정해졌다고?
사극을 보다 보면 노비들의 이름이 특이하다고 느껴진 적 있으신가요?
조선시대 노비들은 무작위로 이름을 지은 것이 아니라,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작명되었다고 합니다.
오늘은 그 특별한 노비 명명법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조선시대 노비 이름의 규칙
🔸 1. 월(달)에 따라 정해지는 글자
월 | 이름 |
1월 | 웅 |
2월 | 쇠 |
3월 | 돌 |
4월 | 만 |
5월 | 용 |
6월 | 육 |
7월 | 칠 |
8월 | 쌍 |
9월 | 삼 |
10월 | 언 |
11월 | 개 |
12월 | 순 |
📌 해당 달에 태어난 노비의 이름 앞 글자는 해당 월의 글자를 사용
🔸 2. 일(날짜)에 따라 정해지는 글자
날짜 | 이름 | 날짜 | 이름 |
1일 | 식 | 17일 | 숙 |
2일 | 구 | 18일 | 단 |
3일 | 삼 | 19일 | 창 |
4일 | 석 | 20일 | 박 |
5일 | 놈 | 21일 | 손 |
6일 | 년 | 22일 | 룡 |
7일 | 꽃 | 23일 | 방 |
8일 | 돌 | 24일 | 득 |
9일 | 민 | 25일 | 국 |
10일 | 것 | 26일 | 포 |
11일 | 돌 | 27일 | 래 |
12일 | 복 | 28일 | 걸 |
13일 | 단 | 29일 | 양 |
14일 | 냥 | 30일 | 정 |
15일 | 똥 | 31일 | 슴 |
16일 | 갑 | - | - |
📌 태어난 날의 숫자에 따라 이름 뒤 글자가 결정됨
🧾 예시로 알아보는 명명법
예: '만석'이라는 이름의 노비
- '만' → 4월생 (4월의 이름 글자)
- '석' → 4일생 (4일의 이름 글자)
🎯 즉, **4월 4일에 태어난 노비의 이름은 ‘만석’**이 되는 셈이죠.
💡 조선시대 노비 이름의 특징
✔ 생년월일 기반 작명
- 한눈에 생년월일을 추정할 수 있음
✔ 이름이 단순하고 규칙적
- 신분 구분이 확실해야 했던 계급 사회의 현실이 반영
✔ 노비들 사이에서 중복된 이름이 많음
- 이름보다도 '누구 소속'인지가 더 중요했기 때문
📚 정리
조선시대의 노비 이름에는 단순한 호칭 이상의 사회적 의미와 통제 시스템이 숨어 있습니다.
현대인의 관점에서 보면 충격적이기도 하지만, 그 시대를 이해하는 하나의 창으로 바라볼 수 있습니다.
🎥 다음에 사극 보실 때, 노비 이름을 주의 깊게 들어보세요.
이름만으로도 그 사람의 생일과 신분, 그리고 시대의 그림자가 느껴질 거예요.
🗨️ 여러분은 어떻게 느끼셨나요?
조선시대 이름 짓기, 흥미롭거나 충격적이지 않나요?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을 들려주세요!
공감♥ + 구독도 함께 해주시면 더 많은 소식 정보를 전달해드립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병원 순위 TOP 25 (2) | 2025.05.26 |
---|---|
서울 중학교 폭력 신고 순위 (2020~2024년) (0) | 2025.05.25 |
1대 100 7단계에서 전원 탈락시킨 전설의 문제! 🤯 (0) | 2025.05.25 |
2025.ver MZ 신조어 완전 정리 📱 (1) | 2025.05.24 |